DB

VIEW 오라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브젝트이다. 테이블과도 비슷하다. 다만 VIEW는 테이블처럼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지는 않다.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종의 통로 역할로, DML 작업이 가능한 가상의 테이블이다. ※ 따라서 더욱 쉽게 보자면 VIEW 는 유저가 복잡한 쿼리문을 매번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, 한 개의 뷰 문으로 대입시켜 사용한다. 라고 이해해도 괜찮을 듯 싶다. VIEW 의 특징 - 복잡한 쿼리문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. - 뷰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 접근하도록 접근을 제한시킬 수 있다. view 생성 시의 주의 사항 : grant connect, resource to ~ 라는 구문만으로는 view 생성의 권한은 부여되지 않는다. 따라서 grant create view to ~ 이라는..

서브쿼리 - 하나의 쿼리 문장 내에 포함된 또 하나의 쿼리 문장. - 비교연산자의 오른쪽에 기술해야 하고 반드시 괄호 안에 넣어야 함. - 메인 쿼리가 실행되기 이전에 한 번만 실행됨. 서브쿼리는 크게 2가지 혹은 4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. - 단일행 서브쿼리( 단일행 단일열 서브쿼리 OR 단일행 다중열 서브쿼리) - 다중행 서브쿼리( 다중행 단일열 서브쿼리 OR 다중행 다중열 서브쿼리) SELECT 절 서브쿼리 ( 스칼라 서브쿼리 ) 스칼라 서브쿼리 ( Scalar Subqueries ) 라고 불리며 SELECT 절 안에 서브쿼리가 들어있다. 이 때, 서브쿼리의 결과는 반드시 단일행 단일열 서브쿼리나 SUM, COUNT 등의 집계 함수를 거친 단일값의 형태로 리턴되어야 한다. 왜냐하면, 서브쿼리를 ..

함수 : 자바의 메소드와 같은 의미. 종류 - 단일행 함수 : n개의 데이터 값을 읽어서 n개의 결과 값을 출력 - 그룹함수 : n 개의 데이터 값을 읽어서 1개의 결과를 출력( 따라서 group by 로 묶였을 경우, 그룹 당 함수를 실행 하고 결과를 반환하게 됨) * 주의사항으로 단일행 함수와 그룹 함수는 함께 사용될 수 없음. 왜냐하면 결과로써 출력되는 행의 갯수 자체가 다르기 때문. 단일행 함수 1. 문자열 관련 함수 - LENGTH(STR) : STR(문자열) 데이터의 글자 수를 반환함 - LEGNTHB(STR) : STR(문자열) 데이터의 바이트 수를 반환함 * 한글의 경우 한 글자 당 3바이트로 취급되며, 영문-숫자-특수문자 등은 한 글자 당 1바이트로 취급됨 - INSTR(STR, '특정 ..